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대다모 - 대한민국 1등 탈모 커뮤니티 대다모

10년 연속 1위 의학커뮤니티 탈모성지 대다모

22년간 기록된 59,010개의 모발이식 포토후기,
835,629건의 탈모고수들의 이야기

* 랭키닷컴 의학커뮤니티 분야 사이트 이용량 / 2015~2024
블랙포레 할명수

탈모 전문가 컬럼

전체 94
비절개 모발이식 이후에 항생제 복용 필수인가?
안녕하세요 부산 맘모스 헤어라인의원 김지석 원장입니다. 아직도 비절개 모발이식을 진행한 이후에 항생제 복용이 필수인 것으로 아는 분들이 많습니다. (출처: 데일리팜)가장 널리 인용되는 모발이식 교과서, Hair Transplantation, Urger and Shapiro 6판에 따르면 아직도항생제 연고를 비절개 모낭 채취를 한 곳에 사용하는 곳이 있지만, 실제적인 이득은 제한적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출처: Hair Transplantation 6th, Unger and Shapiro)절개 방식으로 두피 절편을 이용하여 모낭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항생제 사용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절개 방식의 모낭 채취 기술이 발달하고 펀치에 사용되는 도구의 직경도 작아지는 추세입니다. (직경 1.0mm 이하) 비절개 모낭 채취 후 상처의 크기가 매우 작을 뿐 아니라 우리 두피는 세균 감염에 아주 강한 조직 중 하나입니다. 과거에 절개 방식으로 수술 진행할 때 사용하던 예방적 항생제의 사용이 아직도 관행처럼 비절개 방식의 수술에 적용이 되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교과서적으로 비절개 모발이식 후, 항생제 복용은 물론 항생제 연고도 사용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두피는 특히 세균, 곰팡이균의 감염으로부터 강한 특성이 있습니다. 그 원인으로는 대표적으로 두가지가 있습니다. 1.    풍부한 혈관으로 인한 면역세포가 풍부함 2.    표피층이 다른 부위의 피부보다 두꺼워 세균의 번식이 어려움   그럼에도 비절개 방식으로 모발이식을 받을 경우 항생제를 복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경우(낮은 백혈구 수치) 2.    면역 억제제를 복용하는 경우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비절개 모발이식 후 항생제를 복용하시거나 항생제 연고를 꾸준히 바를 필요는 없습니다.  항생제를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은 이유는 바로 “항생제 내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항생제를 지속적으로 우리 몸에 노출시키면 세균은 항생제의 공격을 피하는 방법을 찾아냅니다. 이런 경우 항생제를 복용하여도 세균이 죽지 않는 내성이 생긴다고 합니다. 중요한 순간에 항생제를 제대로 사용해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평소에 불필요한 항생제의 복용을 자제해야 합니다.2025년이 이제 며칠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무엇보다 회원님들 모두 풍성한 모발을 가지게 되길 바랍니다! 부산 맘모스 헤어라인의원김지석 원장
부산 맘모스헤어라인의원
탈모 약을 2가지 동시 복용의 효과와 위험성, 올바른 복용 습관
탈모약은 원인이 되는 5-알파 환원효소(5-α Reductase)의 작용을 막아 남성 호르몬(Testosterone)이 모낭의 뿌리를 공격하는 DHT(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라는 호르몬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억제하여 탈모를 지연시키는 약물로서 피나스테라이드과 두타스테라이드 성분이 있습니다. 약 40년의 역사를 가진 피나스테라이드 성분의 탈모약은 최초 전립선비대증 치료제로 개발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약을 복용하는 남성들의 머리카락 상태가 호전되는 것을 관찰하고 연구를 통해 용량을 1/5으로 줄여 복용하면 탈모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연구 결과에 의해 하루 1mg 이상의 복용을 하였을 때 효과는 대동소이하고 부작용은 용량에 비례하여 높아졌습니 다. 그리하여 피나스테라이드 성분의 탈모약은 1일 1회 복용, 1회 1mg이 적정 복용량입니다. 약 10년이 아직 안되는 역사를 가진 두타스테라이드 성분의 탈모약의 제조사가 권하는 복용량은 일 1회 0.5mg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처방 후 약효 및 부작용에 대한 학회 및 논문에 의하면 두타스테라이드 계열 약물 하루 1알의 복용은 부작용 사례가 무시할 수 없는 정도로 보여집니다. 많은 임상의들은 일주일에 2-3알, 약 2-3일에 한 알씩의 복용을 권하기도 합니다. 간혹 일부 환자분들에서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하면서 복용량을 증가하거나, 두 가지 약물을 동시에 같이 복용하거나, 혹은 번갈아 복용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피나스테리드 성분의 탈모약의 반감기가 약 12시간인것에 비하여, 두타스테라이드 성분의 탈모약은 반감기가 약 5주입니다. 제조사에서 강조하는 효과는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유전성 탈모에 효과가 있는 약물로서 기본 작용기전은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에 중복 복용은 곧 과다복용을 뜻합니다. 반감기가 다른 약물을 임의로 과다복용을 할 경우엔 부작용의 확률이 높아집니다. 탈모약은 최소 3개월 이상 복용 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부작용의 경우 약 6개월 이내에 대부분 사라지는 심인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탈모약의 효과는 모낭이 아직 머리카락을 생산할 수 있는 동안입니다. 때문에 모낭의 완전 퇴화 전에 꾸준하게 복용하는 것이 탈모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최선의 선택입니다.
참닥터모발이식의원
대다모 탈모샴푸

/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제품 더 보기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맞춤가발 포토후기

탈모의약품 포토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