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대다모 - 대한민국 1등 탈모 커뮤니티 대다모

10년 연속 1위 의학커뮤니티 탈모성지 대다모

22년간 기록된 60,275개의 모발이식 포토후기,
840,792건의 탈모고수들의 이야기

* 랭키닷컴 의학커뮤니티 분야 사이트 이용량 / 2015~2024
댄디 후기

탈모 전문가 컬럼

전체 99
“탈모가 진행중인가요?” 진료실에서 확인하는 것들 – 1. 시점 (onset)
안녕하세요.  머리카락 한 올에 담긴 장인정신!  압구정 모더함의원 수석원장 정한별입니다   "갑자기 머리카락이 많이 빠져요" , "가르마 라인이 너무 비쳐보여요" , "탈모약을 꼭 먹어야 하나요?".   진료 현장에서 탈모로 고민하며 병원을 찾는 분들이 가장 많이 하시는 질문입니다. 많은 분이 단순히 '탈모약 처방'을 원하실 것 같지만, 실제로는 본인의 상태를 정확히 알고 싶어 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러나 각 환자의 성별, 진료 경험 등에 따라 현장의 케이스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러한 질문에 즉각 답을 드리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병원에서는 탈모를 진단할 때 정확히 무엇을 확인할까요? 다음과 같은 상태의 30대 중반 남성 환자가 내원을 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AI generated image입니다). 언뜻 보기에 가마 부근 정수리의 밀도감이 저하된 듯한 느낌이 드는데요, 이러한 케이스를 예시로 하여 다각적 분석 및 진단 과정을 조금씩 나누어 글로 써보고자 합니다. 우선 오늘은 탈모 진단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 ‘시점(onset)’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겠습니다.   시점에 대한 문진을 간단히 요약해보자면 결국 ‘언제부터 이랬나요?’ 정도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시점에 대한 질문과 판단은 생각보다 조금 복잡합니다.우선, 환자 본인이 '발생 시점'과 '인지 시점'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사실 발생 시점을 아는 것 자체가 현실적으로 상당히 어렵기도 합니다). 따라서 진료실에서 환자에게 이에 대해 물을 때에는 발생 시점 / 인지 시점을 구별하여 질문하되, 인지 시점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추어 문진을 실시하게 됩니다.또 한 가지 중요한 축은 “개입 시점”입니다. 병원을 방문하거나 실제로 치료를 시작하는 시점이 되겠죠. 탈모 사실을 인지하기 전부터 예방적으로 탈모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탈모 사실을 인지한 동시에 서둘러 치료를 시작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인지를 어느 정도 하고 있었지만 포기하는 마음으로 / 혹은 관심을 크게 갖지 않고 있다가 뒤늦게 병원을 찾아오시는 케이스도 물론 있고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를 봅시다.“1. 얼마 전 항상 다니던 미용실에 갔다가 2. 요즘 들어 탈모가 진행중인 것 같다는 말을 들었고, 3. 그 길로 병원에 뛰어왔어요.”이 환자의 케이스는 발생 시점과 인지 시점 및 개입 시점이 모두 비교적 가깝게 붙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선 단골 스타일리스트를 통해 전반적인 모발 건강의 변화를 파악하기 용이했을 것이며, 곧바로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찾아오기도 했습니다.반면에, 아래와 같은 경우는 발생 시점과 인지 시점이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고, 개입 시점 또한 지연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의외로 꽤 흔한 케이스입니다.“1. 항상 모자를 쓰고 하는 일을 해서 내내 몰랐다가 2. 몇 년쯤 전 뒤늦게 알게 되었는데 3. 지레 포기하고 지내다가 혹시라도 해볼 수 있는 것들을 찾아보고 싶은 마음에 찾아왔어요.”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두 케이스의 치료 예후는 상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각 시점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조금 더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겠죠.이렇게 시점에 대한 문진 및 파악이 완료되고 나면, 환자가 어떤 것들을 시도해보았는지 묻습니다. 탈모약 복용 / 주사 치료 등을 시도해 본 적이 있는지, 만약 있다면 얼마나 오랜 기간 / 얼마나 꾸준히 지속해왔는지를 확인합니다. 일반적으로 탈모약의 경우 3~6개월 이상 매일 꾸준히 약을 복용했을 때 서서히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해 1년 시점쯤부터 유지기로 접어듭니다. 그래서 약을 복용한 이후의 변화상에 대해서도 물어보아야 해요. 일정 부분 효과가 있었지만 답보 상태에 도달한 것인지, 아니면 성실한 투약 이후에도 계속해서 악화하였는지 확인해야 합니다.만약 위의 사진과 같은 상태의 환자가 1년 이상 약을 꾸준히 복용한 상태라면 ,1.    이제는 탈모약만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어느 정도 한계에 이르렀거나2.    약의 효과 자체가 미미할 가능성이 높다 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전자의 경우 탈모 사실의 인지 시점과 개입을 시작한 시점 사이에 간격이 비교적 커서 탈모가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된 환자에서 비교적 흔합니다. “이것보다 훨씬 더 가늘었을 것 같은데, 그래도 많이 회복이 된 상태인 거죠?” 하면 대부분 고개를 끄덕이세요. 반면에 후자의 경우 Dutasteride, Finasteride 등의 탈모약에 대한 반응이 불량한, 비교적 드문 케이스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가장 기본적이지만 의외로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것 중 하나는 ‘실제로 탈모약’인지 여부입니다. 해외 직구, 오픈 마켓 등 다양한 경로로 건강 보조 식품 / 의약품 등이 보급되고 있는 요즘, 임상 실험상의 검증을 거치지 않은 제품을 탈모약으로 오인하고 복용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습니다. “정확히 어떤 걸 드세요?” 라고 물어보았을 때 모발 영양제 등의 보조제를 드시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아요.투약 순응도 역시 중요한 부분입니다. 간단해요. 얼마나 꾸준히 잘 챙겨 탈모약을 복용하는지에 관한 부분입니다. 자주 빼먹지는 않는지, 혹은 환자가 자체적으로 복용 간격을 결정하지는 않는지(예컨대 일주일에 한 알씩 복용) 확인이 필요합니다. 오늘 칼럼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앞으로도 환자분들께 믿을 수 있는 정보와 치료를 전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압구정 모더함의원-   
모더함의원 모발이식센터
모발이식 생착률 : 모낭 건조에 대한 연구와 고찰
안녕하세요 압구정 맘모스헤어라인의원 남다우 원장입니다.   모발이식에서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생착률’입니다. 생착률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 중 모낭의 건조는 수술 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생착률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모낭 건조가 생착률에 미치는 영향을 주요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1995년, Kim과 Hwang 연구팀은 모낭이 얼마나 오랫동안 건조 상태에 노출되는지에 따라 생착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했습니다.   결과는 5~10분 노출되었을 때 약 94%의 생착률, 20분 노출시 83%로 생착률 급격히 감소, 30분 노출에서는 68%까지 생착률이 저하됐습니다.   즉, 10분 이내 노출은 큰 영향을 주지않지만, 20분 이상 건조되면 생착률이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Beehner의 연구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16분이 지나면 생착률은 86%, 18분이 되면 77%로 떨어졌습니다.   두 연구 모두 건조 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착률이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함을 보여줍니다.     모낭은 살아있는 조직으로, 혈액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건조가 시작된다면 세포 내 수분 손실로 세포막 안정성이 붕괴되고 세포 손상 및 사멸이 촉진되며, 조직 구조가 약화되어 이식 후 혈관 재형성에 실패하게 됩니다.    <시간에 따른 모낭의 건조>   결과적으로 건조 시간은 세포 손상과 비가역적인 변화를 가속화해서 생착률 저하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모낭 건조를 어떻게하면 최소화 할 수 있을까요? 모낭 건조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 원칙은 “신속한 처리와 지속적인 수분 유지” 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채취된 모낭을 신속히 제거하고 모낭 보존용액에 담기. 비절개 모발이식 과정에서 펀치 후 모낭의 피부위 잔류 시간이 길어지면 건조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펀치 후 모낭을 최대한 빨리 제거 후 즉시 보관 용액에 담는 것이 권장됩니다. <모낭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도구, finger cup>   둘째, 보존 용액을 사용. 지난 대다모 칼럼에서도 다룬 주제였던 보존 용액은 Hypothermosol + ATP, Custodiol, 또는 생리식염수 등을 사용하며, 4도씨의 저온 환경 유지가 중요합니다. 보존 용액은 단순히 수분만 유지하는게 아니라 세포 보호와 대사 안정화 효과를 줍니다.   셋째, 현미경으로 모낭 검사와 분리시에 소량씩 처리. 한번에 많은 모낭을 공기중에 노출하지 않고, 검사시에도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합니다.   넷째, 식모기 및 포셉 사용시 신속하게 이식. 모낭이 식모기 내에서 장시간 방치되지 않도록 하고, 즉시 이식하지 않을 경우엔 반드시 보관용액에 담가둬야 합니다.  <식모기 안 모낭의 건조방지>     모발이식은 채취와 이식이 전부가 아닙니다. 모낭을 관리하는 세밀한 과정들이 최종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 중 모낭의 건조는 모발이식 생착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아주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오늘 설명드린 모낭의 건조를 예방하는 방법들이 자연스러운 결과와 높은 생착률을 확보하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번 대다모 칼럼이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칼럼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압구정 맘모스헤어라인의원
대다모 두피샴푸

/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제품 더 보기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맞춤가발 포토후기

탈모의약품 포토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