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대다모 - 대한민국 1등 탈모 커뮤니티 대다모

10년 연속 1위 의학커뮤니티 탈모성지 대다모

22년간 기록된 59,049개의 모발이식 포토후기,
835,682건의 탈모고수들의 이야기

* 랭키닷컴 의학커뮤니티 분야 사이트 이용량 / 2015~2024
댄디

탈모 전문가 컬럼

전체 94
탈모 조합약, 탈모약 성지에 대한 진실, 근거중심의학적 관점
 맘모스 헤어라인 대표원장 석지웅입니다.  과거 블로그에서 여러 탈모약들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말씀드렸는데, Finasteride, Dutasteride, Minoxidil에 대해서는 아래 콘텐츠를 참고 해 주십시오. #1. 프로페시아의 효과와 부작용 #2. 아보다트의 효과와 부작용#3. 미녹시딜의 효과와 부작용 상기 3가지는 FDA에서 승인을 받은 입증된 탈모약들입니다.​*단, 아보다트(Dutasteride)는 국내 승인은 되었으나 미국 및 유럽 등에서 승인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그 외, 입증되지 않은 여러 다른 탈모약들, 소위 전국 각지에 산재해있는 ‘탈모 조합약’, ‘탈모 성지’ 등에 대해 말씀드리기에 앞서 대다모 회원 분들께 근거중심의학에 대한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근거중심의학은 모든 의학의 분야에 있어 세계에서 공용되는 중요한 방법론이지만, 의료계에 종사하지 않는 분들은 생소해하는 편입니다. 다소 어려운 내용일 수도 있지만 최대한 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근거중심의학(EBM, Evidence-based medicine)은 현재 의학의 핵심이 되는 방법론으로 1992년 캐나다의 Gorden Guyatt에 의해 처음으로 대두되었습니다.근거중심의학의 핵심 설명은 다음의 두 가지입니다.​1. 진단이나 치료에 있어 단편적인 경험이나 추론이 아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근거에 따라 모든 결정을 내려야 한다.2. 이 때, 그 연구 결과에서 중요한 점은 무작위 대조실험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일 것이며, 메타분석(Meta-analysis)의 결과가 필요하다.반면 근거중심의학에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는 다음의 세 가지입니다.​1. 병태생리학적 지식에 기반을 둔 이론적 근거2. 의사의 임상 경험에 근거를 둔 경험적 근거3. 주관적 평가에 기반을 둔 전문가적 근거근거중심의학의 선구자 역할을 한 사람은 프랑스의 피에르 루이입니다. 루이는 1800년대, 예전부터 시행되던 발열이 있는 환자에서 사혈(피를 배출함)을 하는 치료에 대한 효과에 의문을 품고, 사혈을 시행한 사람들의 효과를 무작위로 산출한 많은 수의 통계치를 통해 이러한 방식이 효과가 없음을 밝혀냈습니다.​여기에서 더욱 발전한 것이, 무작위 대조실험이며 이를 더 강화시키는 것이 메타분석입니다. 상기 실험을 예로 들면 피에르 루이 외에 A,B,C 등의 과학자들이 사혈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시행한 결과들을 분석해 표준편차를 줄여 이에 대한 입증을 강화하는 것입니다.​이 무작위 대조실험과 메타분석이 근거중심의학의 핵심이며, 이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ic review)입니다.​이 모든 과정을 거친 것이 현대의 의학이며, 다국가의 다기관에서 승인을 받은 치료법이 되는 것입니다. 이 정도 수준의 근거 역시 지속적인 평가를 받으며 수정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의학에서 말하는 근거의 단계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다음 근거의 단계를 통해, 제가 앞서 말씀드린 3가지 탈모약과 그 외의 조합약, 탈모약 성지, 명의들에 대해 보다 확실한 차이를 이해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근거중심의학에 있어, 근거의 단계(수준)을 피라미드로 나타낸 그림입니다.​밑에 있을 수록 근거의 수준이 낮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근거의 수준이 높아지는 피라미드입니다.​가장 밑에 있는 Expert opinion은 전문가의 개인적 의견으로 탈모로 비유하자면, 어떤 한의원에서 어떤 탕약을 먹었더니 모발이 자랐다, 중국에서 어떤 향초를 사왔는데 탈모의 진행이 멈추는 것 같다 - 이에 있어 어떤 한의원의 명의가, 중국 향초 전문가가 데이터를 보여주며 말한 것이다. 수준의 근거라 할 수 있습니다.다음 수준인 Case report 역시 근거의 수준이 무척 낮은데, 의사나 병원에서 소수의 케이스들에 대해 이런 치료를 했더니이렇게 좋은 효과가 있었다. 정도의 내용을 학술지에 보고하는 수준입니다.보통 이런 case report의 결과치에 있어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명확히 분류하지 않아, 우연의 일치나 다른 치료로 인한 효과 등의 영향을 배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보고한 학술지의 공신력 역시 무척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Case report는 '개인의원 혹은 기관에서 이런 연구를 해서 이런 논문이 실렸다.' 식의 마켓팅 용도로 쓰는 일도 비일비재합니다. 탈모로 비유하자면, 우리 한방병원에서 두피에 침을 놨더니 20명 중 15명에서 발모 효과가 있었다,  탈모 명의인 어떤 의사가 비법으로 조합한 영양주사를 두피에 주사했더니 발모 효과가 있었다는 결과가 논문에 실렸다. 수준의 근거라 할 수 있습니다.이후 몇 단계 위인, 무작위 대조실험(RCT)이상부터가 유의미한 수준의 임상적 근거를 가진다 할 수 있고, 미국 FDA 등의 다국가 다국적 기관에서도 이 단계부터 승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단,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입증된 약물의 경우에는, RCT 이하 단계에서 승인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또한, 약물이 아닌 일반 제품이나 의료기기에 있어서는 승인되는 기준이 낮은 편입니다. 근거 수준 피라미드의 가장 위에 위치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는 여러 개의 RCT를 분석해 더욱 정교한 입증을 거친 의학의 근거 수준 최고 단계입니다. 이러한 약물들이 각 과 의학 교과서에 실리는 치료이며, 전 세계 모든 의사들에서 일관된 치료의 가이드라인인 것입니다.​
압구정 맘모스헤어라인의원
발모벽(Trichotillomania)의 정의, 원인과 치료
 압구정 맘모스 헤어라인의원 대표원장 석지웅입니다.이번 칼럼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생소하긴 하지만, 모발이식의원에서는 자주 접하게 되는 발모벽(Trichotillomania), 발모벽의 정의와 원인, 치료에 대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발모벽은 정신건강의학과의 측면, 탈모의 측면 2가지로 나누어 정의할 수 있습니다.1. 정신건강의학과와 관련된 정의자신의 털을 뽑으려는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충동조절 장애의 일종입니다.2. 탈모와 관련된 정의외상성 탈모(Traumatic alopeicia)의 일종인데, 외상성 탈모에는 발모벽, 견인탈모(Traction alopecia)와 압력에 의한 탈모(Pressure-induced alopecia) 등이 있습니다.*견인, 압력에 의한 탈모 등 외상성 탈모에 대해서는 추후 칼럼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발모벽은 소아나 청소년에서 호발하며, 어린 시절에는 남녀비가 비슷하지만 성인에서는 여성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유병률을 보입니다.발모벽은 심리적인 원인과 유전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발모행동의 시작은 스트레스와 연관된 경우가 많은데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원인들이 알려져있고, 생물학적인 측면에서는 강박장애와 마찬가지로 뇌의 세로토닌(Serotonin) 체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발모의 행동을 하기 전에 보통 긴장이 증가되고 행동으로 인해 긴장이완이나 해방감을 느끼게 됩니다.대부분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발모의 행동이 증가되지만 책을 읽거나 tv를 보는 등 긴장이 풀린 상태에서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병적 도박이나 다른 충동조절장애와는 달리 발모벽은 발모를 하는 행동에서 큰 쾌감을 얻는 것이 아닌 경우가 많아 일종의 강박행동으로 여겨지는 경향도 있으나 강박사고로 인한 불안을 줄이려는 시도가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원형 탈모증과 마찬가지로 병변 경계가 잘 구분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원형 탈모와의 감별이 가장 중요합니다.원형 탈모증은 병변이 매끈한 모양이나 발모벽은 병변이 매끈하지 않고 일부 모발이 짧게 끊긴 부분이 많이 관찰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원형 탈모증에 비해서는 병변의 경계가 불규칙하기 때문에 육안으로도 거의 감별을 할 수 있습니다.저 역시 상담 때, 과거 발모벽이 있었으나 현재는 없다고 말씀하시는 분, 발모벽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에서 병변 경계가 보이는 국소적 탈모 부위가 보일 때 원형 탈모증과 감별을 합니다. 이때 가장 기준이 되는 것은 다양한 길이의 모발이 확인되는지의 여부입니다.확대경으로 볼 경우에는 이 구분이 더 명확해지는데 불규칙한 다양한 길이의 모발을 더 자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이 불규칙한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심한 경우에는 물어 뜯긴 듯한 형태(Trichodaganomania), 문질러서 빠진 듯한 형태(Trichoteiromania) 등의 형태를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조직검사 상으로는 원형 탈모와 달리 모공 내에 모발이 존재하는 것이 감별진단이 되지만 육안으로도, 확대경으로도 충분히 감별이 되기 때문에 조직 검사까지 시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발모벽의 치료는 행동요법, 약물요법, 모발이식(수술적 치료)의 3가지로 나눠 생각할 수 있습니다.행동요법의 대표적인 방법은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사하고 주의를 기울이게 하거나 (Self monitoring), 모발을 뽑고 싶은 충동이 들 때 다른 행동을 하도록 훈련하는 방법(Habit reversal)이 있습니다.약물 치료는 강박증에 효과가 있는 clomipramine이나 선택적 세로토닌계 항우울제(SSRI)가 도움이 되며 최근에는 naltrexone과 같은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이 사용되기도 합니다.발모벽은 만성적으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방법으로 치료되지 않고 두피를 광범위하게 침범하는 경우도 간혹 볼 수 있습니다.이 때에는 수술적 치료, 즉 모발이식을 통해 광범위한 탈모 부위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단, 완전히 치료되지 않은 발모벽 환자에서 모발이식은 절대 금기사항입니다.발모벽의 증상을 확실히 조절한 이후 완전히 호전이 되었을 때 모발이식을 다시 고려해봐야 합니다.하지만 발모벽은 치료가 어려운 편이라 호전 후에도 이차적인 재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모발이식을 함에 있어 역시 신중한 접근을 해야 합니다.이상으로 발모벽(Trichotillomania)의 정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의학칼럼을 마치겠습니다.
압구정 맘모스헤어라인의원
대다모 탈모샴푸

/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제품 더 보기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맞춤가발 포토후기

탈모의약품 포토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