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대다모 - 대한민국 1등 탈모 커뮤니티 대다모

10년 연속 1위 의학커뮤니티 탈모성지 대다모

22년간 기록된 59,162개의 모발이식 포토후기,
836,271건의 탈모고수들의 이야기

* 랭키닷컴 의학커뮤니티 분야 사이트 이용량 / 2015~2024
댄디

탈모 전문가 컬럼

전체 95
탈모약과 영양제, 함께 먹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는 움찬모발이식의원 대표 원장, 현상윤입니다.빠지는 머리카락을 보며 한숨 쉬는 일이 많아졌다면, 이제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진지하게 고민하게 됩니다.모발에 좋다는 샴푸와 린스를 사용하고, 식단도 챙기며 일찍 자는 습관까지 들이지만—정작 유전성 탈모라면 이런 관리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을 곧 깨닫게 됩니다. 결국 도달하게 되는 결론.바로 탈모약 복용입니다. 남성형 탈모, 결국 약이 필요한 이유  남성 탈모는 주로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그 중심에는 ‘DHT’라는 호르몬이 있습니다.테스토스테론(남성호르몬)이 5-알파 환원효소를 만나 **DHT(Dihydrotestosterone)**로 변환되면,이 DHT가 모낭에 작용하여 모발 성장을 억제하고, 모근을 파괴하게 되는 것이죠. ✔ 그래서 탈모 치료는 바로 이 DHT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진행됩니다. 현재 탈모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은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입니다. ·       피나스테리드: 5-알파 환원효소 ‘2형’ 억제 ·       두타스테리드: ‘1형 + 2형’ 모두 억제 (더 강력한 효과 가능) 일반적으로는 피나스테리드부터 시작해, 효과가 미미할 경우 두타스테리드로 전환합니다.(*단, 반드시 전문가의 진단과 처방 하에 복용해야 합니다.) Q. 탈모약 먹고 있는데, 영양제도 같이 먹어도 될까요?  모발에 좋다는 영양제들도 많은데, 약과 함께 복용해도 괜찮을까요?혹시 부작용이 생기거나, 약의 효과를 방해하지는 않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대부분의 경우 함께 복용해도 괜찮습니다. 영양제와 탈모약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문제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특히 탈모약이 간에 부담을 줄 수 있는 경우, 간 기능을 보조해주는 영양제를 함께 복용하면오히려 서로 보완 작용을 해줄 수도 있습니다. 단, 아래와 같은 사항은 꼭 기억해 주세요. ✅ 몸에 이상 반응이 있다면 즉시 복용 중단 후 전문가 상담 ✅ 정기적인 혈액검사로 간 수치, 호르몬 수치 등 점검 필요 ✅ 무분별한 영양제 남용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음 과유불급! 영양제는 꼭 필요한 것만  탈모가 걱정되어 하루 수십 알씩 영양제를 챙겨 드시는 분들, 꽤 많습니다.하지만 많은 걸 먹는다고 반드시 더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탈모약은 전문가의 진단과 처방 하에 정확한 용법으로 복용하고,영양제는 모발 건강에 도움 되는 최소한의 구성으로만 섭취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       ✔ 대표적인 탈모 영양소: 비오틴, 아연, 셀레늄, 비타민D, 오메가3 등 ·       ✔ 외용제(예: 미녹시딜)와 병행하면 효과 상승 가능 모든 걸 혼자 판단하지 마시고, 탈모 전문의와 함께 상담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복용을 해도 회복이 안 된다면? → 모발이식 고려 탈모약과 영양제를 꾸준히 복용해도, 이미 모낭이 완전히 사라진 부위에는 더 이상 머리카락이 자라나지 않습니다.이럴 경우에는 ‘모발이식’을 통해 탈모 부위에 새롭게 모발을 심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모발이식이란?후두부 등 ‘탈모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전지대’에서 건강한 모낭을 채취해, 탈모가 진행된 부위에 이식하는 수술적 치료 방법입니다. ✨ 너무 늦지 않게 확인해보세요 일부 환자의 경우, 뒤늦게 내원하셔서 이식 가능한 모낭이 거의 남지 않은 상태가 되기도 합니다.이 경우 수술 자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조기에 진단을 받고 현재 상태를 점검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발이식은 모낭이 남아 있을 때만 시행 가능한 치료법입니다.현재 탈모가 의심되거나 약물치료에 반응이 미미하다면,전문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개인에게 적합한 치료 방향을 세워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움찬의원
탈모 조합약, 탈모약 성지에 대한 진실, 근거중심의학적 관점
 맘모스 헤어라인 대표원장 석지웅입니다.  과거 블로그에서 여러 탈모약들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말씀드렸는데, Finasteride, Dutasteride, Minoxidil에 대해서는 아래 콘텐츠를 참고 해 주십시오. #1. 프로페시아의 효과와 부작용 #2. 아보다트의 효과와 부작용#3. 미녹시딜의 효과와 부작용 상기 3가지는 FDA에서 승인을 받은 입증된 탈모약들입니다.​*단, 아보다트(Dutasteride)는 국내 승인은 되었으나 미국 및 유럽 등에서 승인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그 외, 입증되지 않은 여러 다른 탈모약들, 소위 전국 각지에 산재해있는 ‘탈모 조합약’, ‘탈모 성지’ 등에 대해 말씀드리기에 앞서 대다모 회원 분들께 근거중심의학에 대한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근거중심의학은 모든 의학의 분야에 있어 세계에서 공용되는 중요한 방법론이지만, 의료계에 종사하지 않는 분들은 생소해하는 편입니다. 다소 어려운 내용일 수도 있지만 최대한 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근거중심의학(EBM, Evidence-based medicine)은 현재 의학의 핵심이 되는 방법론으로 1992년 캐나다의 Gorden Guyatt에 의해 처음으로 대두되었습니다.근거중심의학의 핵심 설명은 다음의 두 가지입니다.​1. 진단이나 치료에 있어 단편적인 경험이나 추론이 아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근거에 따라 모든 결정을 내려야 한다.2. 이 때, 그 연구 결과에서 중요한 점은 무작위 대조실험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일 것이며, 메타분석(Meta-analysis)의 결과가 필요하다.반면 근거중심의학에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는 다음의 세 가지입니다.​1. 병태생리학적 지식에 기반을 둔 이론적 근거2. 의사의 임상 경험에 근거를 둔 경험적 근거3. 주관적 평가에 기반을 둔 전문가적 근거근거중심의학의 선구자 역할을 한 사람은 프랑스의 피에르 루이입니다. 루이는 1800년대, 예전부터 시행되던 발열이 있는 환자에서 사혈(피를 배출함)을 하는 치료에 대한 효과에 의문을 품고, 사혈을 시행한 사람들의 효과를 무작위로 산출한 많은 수의 통계치를 통해 이러한 방식이 효과가 없음을 밝혀냈습니다.​여기에서 더욱 발전한 것이, 무작위 대조실험이며 이를 더 강화시키는 것이 메타분석입니다. 상기 실험을 예로 들면 피에르 루이 외에 A,B,C 등의 과학자들이 사혈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시행한 결과들을 분석해 표준편차를 줄여 이에 대한 입증을 강화하는 것입니다.​이 무작위 대조실험과 메타분석이 근거중심의학의 핵심이며, 이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ic review)입니다.​이 모든 과정을 거친 것이 현대의 의학이며, 다국가의 다기관에서 승인을 받은 치료법이 되는 것입니다. 이 정도 수준의 근거 역시 지속적인 평가를 받으며 수정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의학에서 말하는 근거의 단계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다음 근거의 단계를 통해, 제가 앞서 말씀드린 3가지 탈모약과 그 외의 조합약, 탈모약 성지, 명의들에 대해 보다 확실한 차이를 이해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근거중심의학에 있어, 근거의 단계(수준)을 피라미드로 나타낸 그림입니다.​밑에 있을 수록 근거의 수준이 낮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근거의 수준이 높아지는 피라미드입니다.​가장 밑에 있는 Expert opinion은 전문가의 개인적 의견으로 탈모로 비유하자면, 어떤 한의원에서 어떤 탕약을 먹었더니 모발이 자랐다, 중국에서 어떤 향초를 사왔는데 탈모의 진행이 멈추는 것 같다 - 이에 있어 어떤 한의원의 명의가, 중국 향초 전문가가 데이터를 보여주며 말한 것이다. 수준의 근거라 할 수 있습니다.다음 수준인 Case report 역시 근거의 수준이 무척 낮은데, 의사나 병원에서 소수의 케이스들에 대해 이런 치료를 했더니이렇게 좋은 효과가 있었다. 정도의 내용을 학술지에 보고하는 수준입니다.보통 이런 case report의 결과치에 있어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명확히 분류하지 않아, 우연의 일치나 다른 치료로 인한 효과 등의 영향을 배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보고한 학술지의 공신력 역시 무척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Case report는 '개인의원 혹은 기관에서 이런 연구를 해서 이런 논문이 실렸다.' 식의 마켓팅 용도로 쓰는 일도 비일비재합니다. 탈모로 비유하자면, 우리 한방병원에서 두피에 침을 놨더니 20명 중 15명에서 발모 효과가 있었다,  탈모 명의인 어떤 의사가 비법으로 조합한 영양주사를 두피에 주사했더니 발모 효과가 있었다는 결과가 논문에 실렸다. 수준의 근거라 할 수 있습니다.이후 몇 단계 위인, 무작위 대조실험(RCT)이상부터가 유의미한 수준의 임상적 근거를 가진다 할 수 있고, 미국 FDA 등의 다국가 다국적 기관에서도 이 단계부터 승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단,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입증된 약물의 경우에는, RCT 이하 단계에서 승인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또한, 약물이 아닌 일반 제품이나 의료기기에 있어서는 승인되는 기준이 낮은 편입니다. 근거 수준 피라미드의 가장 위에 위치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는 여러 개의 RCT를 분석해 더욱 정교한 입증을 거친 의학의 근거 수준 최고 단계입니다. 이러한 약물들이 각 과 의학 교과서에 실리는 치료이며, 전 세계 모든 의사들에서 일관된 치료의 가이드라인인 것입니다.​
압구정 맘모스헤어라인의원
대다모 탈모샴푸

/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제품 더 보기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 대다모 회원들이 꼼꼼히 선별한 제품 입니다.

맞춤가발 포토후기

탈모의약품 포토후기

[구매후기][라무몰]미녹시딜 계열 구매 후기

몇 년 전부터 머리숱이 눈에 띄게 줄기 시작하더라고요. 특히 정수리 쪽이 휑해지는 것 같아서 거울 볼 때마다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좋다는 샴푸도 써보고, 두피 관리 제품도 찾아봤지만 드라마틱한 효과는 없었어요. 그러다 라무몰에서 민주브를 발견했습니다. 해외에서 오는 거라 배송이 10일 정도 걸렸네요. 기다림은 길었지만, 드디어 택배를 받았을 때 포장 상태가 너무 깔끔해서 일단 안심했어요. 최근에 프로페시아 계열로 같이 먹는건데, ㅠ두 달이 다 되어갈 무렵, 거울을 보고 저도 모르게 '어!' 하고 소리를 질렀습니다. 정수리 쪽에 솜털 같은 잔머리들이 스멀스멀 올라오고 있었거든요. 예전에는 휑했던 부분들이 조금씩 채워지는 게 눈에 보이니까 자신감도 같이 채워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게 바로 미녹시딜 효과인가 싶기도 하고, 정말 신기하더라고요. 드라마틱하게 머리숱이 확 풍성해진 건 아니지만, 확실히 밀도가 촘촘해진 느낌이 들었어요. 라무몰에서 이 제품을 구매하기까지 긴 기다림이 있었지만, 그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저처럼 머리숱 고민 때문에 이것저것 방황하셨던 분들께 민주브를 정말 추천하고 싶어요. 꾸준히 사용한다면 분명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제 인생템이 된 민주브, 고민은 배송만 늦출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