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대다모 - 대한민국 1등 탈모 커뮤니티 대다모

10년 연속 1위 의학커뮤니티 탈모성지 대다모

22년간 기록된 59,858개의 모발이식 포토후기,
839,178건의 탈모고수들의 이야기

* 랭키닷컴 의학커뮤니티 분야 사이트 이용량 / 2015~2024
댄디

탈모 전문가 컬럼

전체 95
모발이식에서 모낭 보존 용액 (2) – 보존의 원리와 한계점에 대한 고찰
안녕하세요 맘모스 헤어라인의원 남다우 원장입니다. 오늘은 지난 칼럼에 이어 모발이식에서 모낭 보존 용액의 필요성과 고찰 (2)편, 모낭 보존이 어떠한 원리로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보존 용액의 한계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편에서 말씀드린 Cooley와 Beehner 의 연구를 보았을 때, 그렇다면 왜 Hypothermosol/ATP 가 생리식염수에 비해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일까요? 그 이유를 천천히 알아보겠습니다.(Hypothermosol 과 liposomal ATP)​모발이식시 모낭이 채취되면 모낭에 공급하고 있던 혈관과 분리되어 허혈이 시작되고, 이것은 곧 산소 결핍을 오게 하면서 결국 세포내 ATP의 결핍을 일으키게 됩니다.  ATP는 세포의 에너지원인데요, ATP 를 이용해서 항상성 유지부터 유전자 발현, 단백질 합성등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대사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결국 ATP의 결핍은 세포 자멸을 일으키게 되고, 이는 곧 괴사를 의미하게 됩니다. 따라서 모발이식시에 허혈을 최소화 하는 것이 모낭 생착률을 높이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ATP 의 분자 구조)​이 허혈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메인이 되는 것은 저온 보관입니다.  온도를 낮추면 대사 요구량이 감소하는데, 예를 들어 대부분의 대사 반응은 정상 온도에서 10도 내려갈 때마다 50%씩 느려집니다. 혈관과 분리되고 허혈된 조직의 부족한 ATP를 대사 반응을 낮춤으로써 필요 ATP 를 적게하여 버텨보게 하는 것인데요,(Hair follicle Chilling device)하지만 저온이 어느 수준을 넘어간다면 세포막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이 세포막의 손상은 세포막의 ATP Na+/K+ 통로에 영향을 주고 이 결과로 비정상적으로 Sodium 이 세포 내로 이동하는 동시에 세포 내로 물이 같이 이동하여 세포가 커지게 되는 세포 종창 (Cell swelling) 이 일어나게 됩니다.이러한 세포가 커지게 되는 현상 자체가 세포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생착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ATP Na+/K+ pump)앞서 말한 저온 보관으로 인한 세포 손상을 줄이기 위해 여러 용액들이 개발되었고, Viaspan, Custodiol, Celsior, Hypothermosol 등이 있습니다.이 보존 용액들에는 불침투성 물질(impermeants)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물질은 저온 보관 중 세포 내부로 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세포의 저온 손상으로부터 보호합니다.앞서 언급했듯이 이러한 모낭 보존 용액들 중 어떤 것이 최선인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있습니다만, 이들 모두가 세포를 저온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습니다.(Custodiol)모든 이식 수술에서는 장기가 이식되고 다시 혈액 순환이 되며 산소에 노출되면 이식된 장기에 또 다른 유형의 손상인 허혈 재관류 손상 (Ischemia reperfusion injury) 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조직 손상과 이식 장기의 생챡률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병리 현상으로 간주됩니다. 채외에 보관되어 허혈성 상태인 장기가 이식되어 혈관과 재관류되면 산소 라디칼이 형성되며, 이는 DNA 와 세포막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Cooley 외 연구진들은 모낭이 이식되기 전(채취만 이뤄진 상태)에 비해 이식 후 모낭에 증가된 활성 라디칼을 발견함으로써, 모발이식에서도 다른 장기 이식과 마찬가지로 허혈 재관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Hypothermosol 에 보존한 모낭은 생리식염수에 보존한 모낭에 비해 훨씬 낮은 활성 라디칼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Hypothermosol과 같은 모낭 보존용액에는 허혈 재관류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 라디칼을 제거하기 위한 항산화제 (글루타치온, 합성 비타민 E 및 알로퓨리놀)가 포함되어있기 때문입니다. ​ Viaspan, Custodiol, Celsior, Hypothermosol 과 같은 모낭 보존 용액들과는 달리, Normal saline, Plasma-lyte A, Lactated Ringer's solution 과 같은 용액들은 불침투성 물질이 없어 저온 보관시 세포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더욱이 항산화제, 영양소, pH를 조절하는 완충제가 부족합니다. 애초에 '모낭 보존 용액' 으로 사용되도록 만들어진 것도 아니고, 앞서 언급했듯이 사용하는 것에 대한 어떠한 규제 합의가 이루어진 것도 아닙니다. ​[cf. 전자의 용액들은 모낭을 저온 보관시 세포내 환경을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세포내" (Intracellular) 보존 용액이라고도 불리고, 후자의 용액들은 전자와 달리 세포내 환경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포외" (Extracellular) 보존 용액이라고도 불립니다.] ​ 그런데 놀라운 것은 일반적인 모발이식 수술을 할때, 모낭 보존 용액으로서 생리식염수가 앞서 설명한 한계점들에도 불구하고 좋은 생착률을 보인다는 점에서 많은 모발이식 의사들이 생리식염수를 모낭 보존 용액으로서 안전한 선택이라고 생각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 이 외에도 세포 배양 배지 (Cell culture media)도 간혹 모낭 보존 용액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요, 애초에 세포 배양 배지는 세포 배양만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환경이기 때문에, 체외 보관을 할 때 저온 보관이 필요한 이식에서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세포 배양 배지)(cf. 세포 배양이란 인공적으로 조성한 유리한 환경에서 세포를 계속 성장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유리한 환경뿐만 아니라 영양소들이 함유 되어 있는 "밥"을 제공해줘야 하는데요, 그것이 바로 배지입니다.)PRP (Platelet-rich plasma) 는 탈모 치료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한번쯤은 들어봤을 탈모 주사 치료인데요,혈소판 풍부 혈장을 주사함으로써 그 안의 다양한 성장인자, 활성인자들이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이 PRP를 모낭 보존 용액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이론상 PRP 속 성장인자, 활성인자들이 이식된 모낭에 혈관 재형성을 촉진하고 모낭 이식편이 자리를 잘 잡을 수 있게 해줄 수 있습니다.(PRP (Platelet rich plasma))하지만 PRP는 제조하는 것부터 여러 변수가 존재하는데요,예를 들면, 원심 분리의 시간, 강도, 혈소판 활성, 그리고 혈소판 수, 혈장의 양 등 명확히 정해진 기준 및 방법이 정해져 있지 않아 PRP의 질 자체가 환자마다 차이가 많이 날수 있다는 점과 이에 더해 피를 통해 전염되는 HIV, B형 간염, C형 간염 등에 노출이 될 수 있다는 점도 PRP의 한계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이제까지 보낭 보존 용액들에 대해 기본 개념부터 여러 종류, 한계점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어떤 보존 용액이 최선인지에 대한 답은,안타깝게도 현재까지 모낭 보존 용액간 비교하는 연구가 거의 없다시피 너무 적고, 있다해도 연구의 규모가 너무 작아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엔 무리가 있어 무엇이 최선인지 답하기 어렵습니다.하지만 이번 칼럼을 통해 설명했다시피, 이론적으로도, Cooley 등 연구 결과적으로도, 생리식염수보다 Hypothermosol/ATP, Viaspan, Custodiol, Celsior 같은 "세포내" 보존 용액들이 조금이라도 생착률을 높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이번 두편의 칼럼을 통해 중요하게 알아야 할 점은모낭 보존 용액은 생착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많은 요인 중 하나일 뿐, 다른 요소들이 잘 받쳐주지 않는다면 모낭 보존 용액 자체가 생착률에 큰 영향을 주기 어렵다는 점입니다.​각 모낭 보존 용액의 차이가 의미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모낭 손상이 일어나지 않게 모낭을 채취하여 이식하는 것이 생착률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이것이 선행되지 않고, 단순히 좋은 보존 용액을 사용한다 한들생착률에는 큰 의미가 있지 않을 것입니다. 모발이식에서 들어보지 못했을 수도, 혹은 사소하다고 느껴질 수도 있는모낭 보존 용액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이었는데요,모발이식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이 유익한 정보를 얻어가셨길 바라겠습니다.  이상으로 모발이식에서 모낭 보존 용액의 필요성과 고찰 (2)편 대다모 칼럼을 마치겠습니다.
압구정 맘모스헤어라인의원
모낭 줄기세포를 활용한 탈모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_자가모근 줄기세포 메조테라피
탈모는 남녀를 불문하고 현대인에게 큰 스트레스이자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입니다. 지금까지 약물치료, 모발이식, 보톡스, PRP(Platelet Rich Plasma, 자가혈소판농축액), ATP 등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었지만, 누구에게나 똑같이 효과적인 것은 아니었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모낭 줄기세포(HFSC, Hair Follicular Stem Cell) 를 활용한 치료입니다. 모낭 줄기세포는 모발 성장의 ‘씨앗 세포’로, 탈모가 진행된 부위에 주입하면 약해진 모낭을 자극하고 새로운 모발 형성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탈모 진행 부위에 작용하여 약해진 모낭을 자극하여 모낭의 성장 및 새로운 모낭 형성에도 도움을 주면서 탈모 진행을 막고 발모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탈리아 로마 “Tor Vergata” 의대 연구팀은 11명의 남성 탈모 환자(AGA 3~5단계)를 대상으로 모낭 줄기세포 치료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치료 후 23주(약 6개월) 시점에서 모발 밀도가 평균 29%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반대로 가짜 치료(Placebo) 부위에서는 변화가 1% 미만이었습니다.[모낭 줄기 세포 치료를 활용한 비교 임상 사진_치료 전/23주 후 모발 밀도 변화]이처럼 모낭 줄기세포를 활용한 탈모 치료의 효과성이 세계적으로 입증된 가운데, 이를 더욱 상용화시키고 환자들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순도 높은 줄기 세포의 추출률을 높이는 것이 핵심 과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최근 이 추출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가 소개되어 모발 이식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한양대학교 의대와 인도 크라이오센터, 국내 모발이식병원이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한 이 기술은 자가 혈소판을 이용한 재생치료로, 후두부에서 약 120~150개의 모낭을 채취하고, 자신의 혈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혈소판이 농축된 혈장(Plasma)을 추출하여 두피에 주사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통해 통상적으로 2.5~5.0% 수준이었던 추출률을 49.5%까지 높이고, 시술 후 1.5개월에는 기존 모발의 두께와 성장 속도가 눈에 띄게 증가하며, 시술 후 6개월에는 모발 밀도 및 굵기가 29% 이상 개선되며 모발 구성비(단일모,이중모,다중모)도 정상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실제 환자의 모낭과 모근줄기세포 염색사진][출처 : 인도 크라이오센터 &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공동 연구] 여러 해외 논문과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효과 입증된 모낭줄기세포를 활용한 시술은 자가 모낭 과 자가 혈액을 사용함으로써 거부 반응이 없는 안전성이 큰 장점입니다. 또한,  모낭 줄기 세포 추출률을 높여 모낭 채취수를 최소화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들에게 긴 수술 시간과 회복 기간은 탈모 시술에 대한 장벽으로 작용하는데, 모낭 줄기 세포 치료법은  시술 시간 이 1~1.5시간 소요되며, 1회 시술로 충분하기에 환자들에게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 할 수 있습니다.  탈모 치료를 위해 절개 또는 비절개 수술에만 절대적으로 의존하던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이번에 소개해드린 자가모근 줄기세포 치료 는  탈모 진행을 늦추고 모발밀도와 모발굵기 및 모발구성비(단일모:이중모:다중모 비율)가 개선되는 등 풍성한 머리카락을 되찾고자 하는 분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것입니다.
젬마모발이식센터

맞춤가발 포토후기

탈모의약품 포토후기

탈모약 먹고 나서 후기 올립니다!

오랫동안 정수리 탈모로 고민이 많았습니다. 거울을 볼 때마다 푹 꺼져 보이는 정수리 때문에 괜히 자신감도 떨어지고,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죠. 그러다 의사 선생님과 상담 후 '프로페시아'를 처방받아 복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주변에서 효과가 좋다는 말은 들었지만, 반신반의했던 게 사실입니다. 처음 몇 달 동안은 큰 변화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꾸준히 복용했는데, 3~4개월쯤 지나자 조금씩 달라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머리를 감을 때 빠지는 머리카락 수가 확연히 줄어들었고, 거울을 자세히 보니 정수리 부분이 전보다 덜 비어 보이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좋았던 건, 머리카락 한 올 한 올이 힘이 생긴 듯 뻣뻣해졌다는 것입니다. 물론, 프로페시아가 만병통치약은 아닙니다. 드라마틱하게 풍성한 머리숱을 만들어주는 것은 아니지만, 탈모 진행을 막고 모발을 강화하는 데는 확실히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탈모에 대한 걱정을 많이 덜었고, 예전보다 훨씬 편안한 마음으로 일상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탈모로 고민하시는 분이라면, 전문의와 상담 후 꾸준히 복용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잃어버렸던 자신감을 되찾는 데 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미녹시딜 6개월차 후기

안녕하세요 미녹시딜 6개월 차 후기 입니다. 처음에는 솔직히 반신반의 하고 이게 진짜 효과가 있을까 싶었어요 매일 바르는 게 귀찮아서 며칠 빼먹을 때도 있었지만.. 초반 한 두달은 오히려 더 빠지는 느낌이 들어서 진짜 멘붕 오고 괜히 시작했다 싶었는데 3개월 쯤 지나면서 빠지는 양은 조금 줄고 가는 솜털같은 머리카락들이 조금씩 차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6개월차인데 앞머리쪽은 여전히 얇고약하지만 정수리 쪽은 두피가 확실히 덜 비치네요 아직 풍성하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머리를 감을 때 느낌이 정말 달라요 약 냄새는 조금 있지만 그래도 습관처럼 바르다 보니 이제는 그냥 양치하듯 루틴이 되었습니다 ㅋㅋ 결론적으로는 완변한 변화는 아니지만 확실히 좋아지고 있다고 느낍니다 꾸준히 쓰는게 중요할 것 같다고 느껴서 다음에는 1년 차 후기로 돌아오겠습니다 그 때는 훨씬 나아져 있길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