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대다모

의학 커뮤니티 9년 연속

랭키닷컴 1위 커뮤니티

21년간 기록된 33,621개의 모발이식포토평가,
796,273건의 탈모고수들의 이야기

탈모 전문가 컬럼

전체 47
탈모약 복용과 성기능, 여유증의 관계
탈모약이라함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요. 이중 가장 많이들 복용하는 약물은 피나스테라이드, 두타스테라이드 성분인 프로페시아와 아보다트가 있겠습니다. 이들은 5-알파 환원효소 억제제(5ARI)라 불리는데요. 이 약들은 5-알파 환원효소를 억제함으로써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DHT로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여 혈중 DHT 농도를 낮추게 됩니다. 따라서 모발의 안드로겐 수용체에 DHT의 결합을 낮추어 탈모발현을 지연, 억제하게 됩니다. 모든 약에는 부작용이라는게 따릅니다. 이 5ARI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성기능관련 이상반응입니다. 프로페시아 약물 설명서의 내용을 보면 945명의 환자에서 프로페시아를 1년간 복용하였을 때 성욕감퇴의 경우 약 1.8%에서 나타났으며, 발기부전의 경우 1.3%에서, 사정장애의 경우 1.2%에서 나타났습니다. 진료실에서 탈모가 있는 환자분들을 마주하였을 때 가장 걱정하는 부분이 이 성기능 장애 부분 입니다. 주변에서 탈모약을 먹으면 성기능이 떨어지게 된다는 소문을 듣고 주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거의 천명의 가까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 1~2 프로 내외의 낮은 비율로 발생하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복용을 시작해보면 되겠습니다. 만약 발생하는 경우 끊으면 다시 돌아오니 내가 부작용이 있는 경우인지 아닌지는 약물을 복용을 해봐야 알게 되겠습니다. 여유증의 경우 약 0.5% 내외에서 발생되는 드문 부작용으로 DHT로 변환을 억제하는 경우 테스토스테론의 레벨이 도리어 증가하여 체내에서 아로마타제라는 효소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이 여성호르몬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 경우 남성에서 여성호르몬의 농도가 올라가게 되어 가슴이 커지는 여성형 유방 형태로 관찰되게 됩니다. 여성형 유방이 발생되는 경우 유선조직이 발달되면서 가슴이 아프거나 몽우리가 만져지고 커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데요. 이 경우 약을 끊게되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 밖에도 자주 볼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피로감, 권태감, 우울감 등을 드물게 호소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이 경우 약을 저녁에 복용함으로써 줄일 수 있습니다.
다나성형외과
발모벽(Trichotillomania)의 정의, 원인과 치료
 압구정 맘모스 헤어라인의원 대표원장 석지웅입니다.이번 칼럼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생소하긴 하지만, 모발이식의원에서는 자주 접하게 되는 발모벽(Trichotillomania), 발모벽의 정의와 원인, 치료에 대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발모벽은 정신건강의학과의 측면, 탈모의 측면 2가지로 나누어 정의할 수 있습니다.1. 정신건강의학과와 관련된 정의자신의 털을 뽑으려는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충동조절 장애의 일종입니다.2. 탈모와 관련된 정의외상성 탈모(Traumatic alopeicia)의 일종인데, 외상성 탈모에는 발모벽, 견인탈모(Traction alopecia)와 압력에 의한 탈모(Pressure-induced alopecia) 등이 있습니다.*견인, 압력에 의한 탈모 등 외상성 탈모에 대해서는 추후 칼럼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발모벽은 소아나 청소년에서 호발하며, 어린 시절에는 남녀비가 비슷하지만 성인에서는 여성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유병률을 보입니다.발모벽은 심리적인 원인과 유전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발모행동의 시작은 스트레스와 연관된 경우가 많은데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원인들이 알려져있고, 생물학적인 측면에서는 강박장애와 마찬가지로 뇌의 세로토닌(Serotonin) 체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발모의 행동을 하기 전에 보통 긴장이 증가되고 행동으로 인해 긴장이완이나 해방감을 느끼게 됩니다.대부분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발모의 행동이 증가되지만 책을 읽거나 tv를 보는 등 긴장이 풀린 상태에서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병적 도박이나 다른 충동조절장애와는 달리 발모벽은 발모를 하는 행동에서 큰 쾌감을 얻는 것이 아닌 경우가 많아 일종의 강박행동으로 여겨지는 경향도 있으나 강박사고로 인한 불안을 줄이려는 시도가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원형 탈모증과 마찬가지로 병변 경계가 잘 구분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원형 탈모와의 감별이 가장 중요합니다.원형 탈모증은 병변이 매끈한 모양이나 발모벽은 병변이 매끈하지 않고 일부 모발이 짧게 끊긴 부분이 많이 관찰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원형 탈모증에 비해서는 병변의 경계가 불규칙하기 때문에 육안으로도 거의 감별을 할 수 있습니다.저 역시 상담 때, 과거 발모벽이 있었으나 현재는 없다고 말씀하시는 분, 발모벽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에서 병변 경계가 보이는 국소적 탈모 부위가 보일 때 원형 탈모증과 감별을 합니다. 이때 가장 기준이 되는 것은 다양한 길이의 모발이 확인되는지의 여부입니다.확대경으로 볼 경우에는 이 구분이 더 명확해지는데 불규칙한 다양한 길이의 모발을 더 자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이 불규칙한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심한 경우에는 물어 뜯긴 듯한 형태(Trichodaganomania), 문질러서 빠진 듯한 형태(Trichoteiromania) 등의 형태를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조직검사 상으로는 원형 탈모와 달리 모공 내에 모발이 존재하는 것이 감별진단이 되지만 육안으로도, 확대경으로도 충분히 감별이 되기 때문에 조직 검사까지 시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발모벽의 치료는 행동요법, 약물요법, 모발이식(수술적 치료)의 3가지로 나눠 생각할 수 있습니다.행동요법의 대표적인 방법은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사하고 주의를 기울이게 하거나 (Self monitoring), 모발을 뽑고 싶은 충동이 들 때 다른 행동을 하도록 훈련하는 방법(Habit reversal)이 있습니다.약물 치료는 강박증에 효과가 있는 clomipramine이나 선택적 세로토닌계 항우울제(SSRI)가 도움이 되며 최근에는 naltrexone과 같은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이 사용되기도 합니다.발모벽은 만성적으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방법으로 치료되지 않고 두피를 광범위하게 침범하는 경우도 간혹 볼 수 있습니다.이 때에는 수술적 치료, 즉 모발이식을 통해 광범위한 탈모 부위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단, 완전히 치료되지 않은 발모벽 환자에서 모발이식은 절대 금기사항입니다.발모벽의 증상을 확실히 조절한 이후 완전히 호전이 되었을 때 모발이식을 다시 고려해봐야 합니다.하지만 발모벽은 치료가 어려운 편이라 호전 후에도 이차적인 재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모발이식을 함에 있어 역시 신중한 접근을 해야 합니다.이상으로 발모벽(Trichotillomania)의 정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의학칼럼을 마치겠습니다.
압구정 맘모스헤어라인의원

맞춤가발 포토후기

탈모의약품 포토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