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대다모 - 대한민국 1등 탈모 커뮤니티 대다모

10년 연속 1위 의학커뮤니티 탈모성지 대다모

22년간 기록된 58,938개의 모발이식 포토후기,
835,287건의 탈모고수들의 이야기

* 랭키닷컴 의학커뮤니티 분야 사이트 이용량 / 2015~2024
나의탈모의느님

탈모 전문가 컬럼

전체 94
모발의 노화 : 머리카락도 늙는다고요?!
안녕하세요.모우다의원 대표원장 김현경입니다.aging에 대한 관심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아요.​anti-aging에서 slow-aging, well-aging까지 시간을 거스르기 위한 방법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는데요. ​피부의 노화는 일찍부터 관리하는 데 반해 머리카락은 늘 그대로일 거라 생각하는 경우가 흔한 것 같습니다.​하지만, 머리카락도 늙는다는 사실!오늘은 머리카락의 노화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의 모발은 가장 굵은 편입니다.  백인은 한국인보다 상대적으로 가는 모발이 많고 대신 한 모낭당 모발의 개수가 많죠.​나이에 따른 모발의 굵기의 평균을 숫자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10대~20대 : 모낭의 성장 기능이 활발하여 모발이 가장 굵고 건강한 상태로 평균 80-100㎛입니다.- 30~40대 : 성장인자의 감소와 모낭의 축소로 인해 모발이 점차 가늘어집니다. 실제로 정상 노화로 인한 머리카락 볼륨 감소로 병원에 오시는 흔한 나이대이기도 합니다.- 50대 이후 : 성장기 단축과 휴지기 연장으로 인해 가늘고 짧은 모발이 증가하기 시작하며 40㎛ 이하의 가늘고 짧은 모발도 흔히 관찰됩니다.​물론 유전적 요인, 성별, 생활습관(영양, 스트레스)에 따라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단위가 마이크로미터잖아요. 큰 차이를 못 느낄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죠. ​모발의 노화 : 굵기의 변화모발의 굵기는 모낭의 크기와 모발 성장 주기에 따라 결정되는데요. 노화가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발생합니다. - 모낭의 소형화(miniaturiation)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모낭이 점차 작아지면서 생성되는 모발의 굵기가 감소합니다. 모낭 주변의 미세환경의 변화가 주요 원인이죠.- 성장기(anagen) 단축 : 젊은 시기에는 모발의 성장기가 길어 굵고 건강한 모발이 유지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성장기가 짧아지고 휴지기(telogen)가 길어지면서 점점 가늘고 짧은 모발이 많아집니다.- 모발 색소(멜라닌) 감소 : 모낭 내 멜라닌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흰머리가 증가합니다. 멜라닌이 줄어들면서 모발 구조가 변하고 상대적으로 더 가늘고 부드러운 형태가 됩니다.모낭 주변 성장인자 분비 변화모낭 주변에서는 다양한 성장인자가 분비되어 모발의 성장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들의 균형이 깨지고 모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거죠. -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1) 감소 : IGF-1은 모낭 세포의 증식과 성장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성장인자인데요. 나이가 들면서 IGF-1의 분비가 감소하면, 모낭의 성장 능력이 떨어지고 모발이 가늘어지며 성장 속도가 느려집니다.-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감소 : VEGF는 모낭 주변 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나이가 들면 혈관 밀도가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모낭에 공급되는 영양과 산소가 줄어들어 모발 성장이 위축됩니다.- FGF-5(fibroblast Growth Factor-5) 증가 : FGF-5는 성장기를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장인자입니다. 노화가 진행되면 FGF-5의 발현이 증가하면서 성장기가 더욱 짧아지고 이는 모발이 가늘어지고 휴지기가 길어지는 원인이 됩니다.- TGF-b 증가 : TGF-b는 모낭 세포의 퇴행을 유도하는 인자로 노화가 진행되면서 증가합니다. 이는 모낭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키고 모발 성장 주기를 짧게 만들어 점점 가늘고 약한 모발이 많아지게 만들죠.결국 노화가 진행되면 성장인자가 감소하고 억제인자가 증가하며 모낭이 퇴화됩니다. 결국 모낭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모발의 굵기도 가늘어지게 됩니다. ​성장기가 짧아지고 휴지기가 늘어나면서 가늘고 짧은 모발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이전과 다르게 머리카락에 힘이 빠지는 느낌이 생기는 것이죠.​머리카락은 관속에 들어갈 때까지 그대로인 줄 알았는데 머리카락도 늙는다니ㅜㅜ​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모발 노화 역시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올바른 관리와 생활습관을 통해 노화의 속도를 늦추고 건강한 두피와 머리카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지금부터 머리카락에도 조금 더 신경을 써보면 어떨까요?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Dr. 김현경 드림​ 
모우다의원
탈모 카피약과 오리지널 약은 동일한 효과가 있나요? (동등성 실험)
맘모스 헤어라의원 서울점 대표원장 석지웅입니다.​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탈모약 복용에 있어”오리지널을 복용해야 할까요?“”카피약을 복용해도 괜찮나요?“에 대한 답 자체보다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드리기 위해​오리지널약과 카피약의 동등성 평가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의 정의>상기 용어에 대해 다른 정의도 있지만, 식약청 고시에 따른 원문을 말씀드리겠습니다.​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은 생동성 입증을 위하여 실시하는 생체 내 시험으로 주성분이 전신순환계에 흡수되어 약효를 나타내는 의약품에 대하여 동일 주성분을 함유한 동일 투여경로의 두 제제가 생체이용률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동등하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실시되는 시험이다.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의 평가>대조약과 시험약의 비교 평가 항목치를 로그 변환하여 통계처리 하였을 때, 로그 변환한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log0.8에서  log1.25이내 일 경우 동등으로 판정합니다.인체에 흡수된 약물의 혈중 최고 농도를 Cmax라 하고, 이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Tmax입니다.​AUC(Area under the plasma level-time curve)는 투약 시점부터 Tmax에 도달할 때까지의 혈중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을 의미하는데, 인체의 약물 노출량의 지표로 쓰일 수 있습니다.​*단순 약물 복용량과 인체 노출량은 다른 개념입니다.​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은 일반적으로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대조약(오리지널 약, 신약)과 시험약(카피약, 제네릭 약)의 AUC와 Cmax를 비교하여 제네릭 의약품의 평균 혈중 농도가 오리지널 의약품의 80-135%에 들면 동등하다고 판정합니다.​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은 명백한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생물학적’ 동등성이 ‘치료학적’ 동등성과 동일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즉 카피약이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을 통과했다 할지라도, 오리지널 약과 치료 효과 면에서 동등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하겠습니다.'생물학적 동등성'과 다른 '치료학적 동등성'에 대해서는 각국마다 다른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미국과 일본, 한국의 예시를 설명드리겠습니다.​<미국>1. 정의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같은 임상효과(Equivalent clinical effect)와 안정성을 갖는 제제​2. 전제 조건a. 안전성과 유효성이 증명되어야 한다.b. 동일한 양의 활성 성분이 동일한 제형에 함유되어있으며 투여경로가 같아야 하며, 함량 기준, 질 및 순도를 가진 제제학적 동등성이 확보되어야 한다.c. 생물학적 동등성에 문제가 없고 시험관 표준 시험법에적합하여야 한다.d. 용법 등 제품 설명이 적절히 표기되어야 한다.e. 현행 제조시설 기준 *cGMP를 만족하여야 한다.​*cGMP :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소위 ‘선진 GMP'라 하는 기준입니다.​3. 규정연방규정집 (CFR, Code of Federal Regulation)​<일본>1. 정의 : 치료 효과가 동등한 제제​2. 전제조건 : 없음​3. 규정 : 후발의약품에 대한 생동성 시험 가이드라인​<한국>1 정의 : 없음​2. 전제 조건 : 없음​3. 규정 : 없음​상기 예시처럼 국가별로 치료학적 동등성을 판단하는 규정이 다른데, 아직 국내에서는 이를 판단하는 기준도 기관도 없는 상태입니다. 즉 국내에서 시판되는 제네릭 약물들은 ‘생물학적 동등성’은 입증되었다 할지라도, ’치료학적 동등성‘은 입증되지 않은 약물들입니다.1. 시험의 본질적인 한계AUC, Cmax 등의 혈중 농도 Profile만을 가지고 성분, 효과, 부작용 등을 포함한 완전한 동등성을 입증하는 것은 불가능함​2. 시험의 평가 수치에 대한 한계오리지널 의약품의 80-125%의 range에 들면 허가가 이루어지는 자체가, 20-25%의 차이를 인정한다는 것​3. 개개인(실제 환자)의 약동학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음생물학적 동등성 실험은 젊고 건강한 성인(만 19-50세) 의 공복 상태에서 실시되므로, 실제 환자의 약동학적 (Pharmacokinetics) 
부산 맘모스헤어라인의원

맞춤가발 포토후기

탈모의약품 포토후기